뚜벅 일상

3040 퇴사 체크리스트 4. 건강보험 임의계속가입 vs 지역보험료, 뭐가 더 유리할까?

초록시심 2025. 8. 6. 12:13
반응형

3040 직장인 퇴사 알아야 현실 체크리스트, 번째 시간입니다.

 

퇴사 궁금한 하나, 바로 건강 보험료가 얼마나 달라질까?”인데요,

직장 다닐 때는 월급에서 자동으로 빠져나가던 보험료가, 퇴사 후에는 지역가입자로 전환되면서 직접 고지서를 받아 납부해야 합니다.

이때 보험료가 올라갈지, 줄어들지 비교 , 임의계속가입신청여부를 결정해야 해요.

건강보험 임의계속가입, 해야 할까?

건강보험 임의계속가입 제도, 퇴직 건강보험료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실업자가 희망할 경우 직장가입자 시절의 보험료 수준으로 최대 3년간 보험료를 납부할 있도록 하는 제도예요.

보통 퇴직하면 직장가입자에서 지역가입자로 전환되어 재산과 소득 등을 종합한 지역보험료를 내야 하는데, 보험료 부담이 늘어날 경우 부담을 완화해줄 있지요. 

  • 대상: 퇴직 최근 18개월 통산 1 이상 직장가입자였던 사람
  • 신청방법: 홈페이지, The건강보험(모바일앱), 지사방문, 유선(1577-1000), 팩스(FAX), 우편

임의계속가입 신청은 지역보험료 고지서 납부기한으로부터 2개월 이내에 가능합니다.  

 

 

임의계속가입이 무조건 유리한 아니다?  

 그런데, 반드시 임의계속가입이 이득인 것은 아니에요.

 

- 임의계속가입자의 건강보험료 산정: 퇴직 직전 12개월 보수월액의 평균 × 연도별 직장가입자 보험료율 + 보수 소득월액보험료

- 지역가입자의 건강보험료 산정: 가입자의 소득, 재산, 자동차, 생활수준 경제활동참가율 등을 점수화해 산출

 

, 임의계속가입을 하면 이후 3 직장가입자 보험료를 그대로 유지할 있지만,

지역보험료보다 오히려 많이 내야 수도 있습니다

(물론 부동산 재산이 많을수록 임의계속가입이 유리할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임의계속가입하는 것보다 지역보험료가 훨씬 적더라고요.

 

 

언제, 어떻게 비교할 있을까?

임의계속가입이 실제로 유리한지 여부를 확인하려면,

퇴사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발송하는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고지서 받아보고 비교해야 합니다.

 

참고로 저는 퇴사 다음 초에 공단에 전화해 바로 확인할 있었습니다.

1577-1000 으로 전화하면 담당자가 현재 기준 금액을 비교해 안내해줍니다.

다만, 정확한 것은 고지서를 받아본 이후에 있습니다

 

 

☞ 요약하면, 

퇴사 임의계속가입 무조건 신청하지 말고, 지역보험료 고지서를 받아 직접 비교 결정하세요.
신청할 경우엔 신청기한(고지서 납부기한으로부터 2개월) 기억해두세요!

반응형